본문 바로가기
입시, 교육, 육아 등/교육

이공계 대학원생 연구생활장려금 지원사업 총정리

by 쓰다! 담다! 쓰다듬다! 2025. 4. 27.
반응형

 

이공계 대학원생의 연구 몰입을 위한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사업'이 2025년부터 본격 시행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선정한 29개 대학이 참여하며, 석사과정 80만 원, 박사과정 110만 원의 지원금을 매달 안정적으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업의 개요, 참여대학 목록, 신청방법, 그리고 알아야 할 실질적인 꿀팁까지 초보자도 알기 쉽게 설명합니다.


1.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사업 개요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사업'은 이공계 대학원생에게 매달 일정 금액 이상의 장려금을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이 사업은 기존 연구비 지원과는 달리, 학생의 경제적 안전망을 강화하고 연구에 몰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됩니다.

# 한국형 스타이펜드란?

**스타이펜드(Stipend)**는 학생에게 지급되는 생활비 성격의 지원금을 의미합니다.

'한국형 스타이펜드'는 이를 국내 실정에 맞게 체계화하여 다음을 목표로 합니다.

  • 학생연구자의 경제적 안정성 확보
  • 연구 몰입도 향상 및 처우 개선
  • 국가 R&D 경쟁력 강화

# 주요 내용 요약

구분 내용
지원 대상 2025년도 사업 참여대학 소속 이공계 대학원생
지원 금액 석사과정 매달 80만 원, 박사과정 매달 110만 원
사업 기간 2025년~2033년 (9년간)
총 투자 예산 약 9,790억 원
관리 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 이 지원금은 연구비와 별도로 학생 개인에게 지급됩니다.

 

 


2. 2025년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참여대학 정리

2025년도에는 전국 총 29개 대학이 참여대학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고르게 포함되어 지역 균형을 고려했습니다.

#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참여대학 (16개교)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성균관대, 서강대, 중앙대, 경희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광운대, 동국대, 숭실대, 아주대, 인하대,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가톨릭대

 

# 비수도권 참여대학 (13개교)

부산대, 경북대, 전남대, 충남대, 충북대, 강원대, 전북대, 제주대, 경상국립대, 울산과학기술원(UNIST),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 각 대학은 별도의 세부 운영 계획을 수립해 지원금 지급을 진행합니다.

# 지원금 지급 구조

지원 항목 지급 방식
석사과정 대학원생 매월 80만 원 보장
박사과정 대학원생 매월 110만 원 보장
추가 지원 대학 재원 또는 연구책임자 인건비 활용 가능

3. 신청 방법과 지원 팁 총정리

# 신청 방법

  1. 자격 확인: 참여대학 소속 이공계 대학원 재학생이어야 함.
  2. 운영 계획 확인: 각 대학별 세부 운영 지침 공지 예정.
  3. 지원 대상자 선정: 대학별 기준에 따라 소득, 성적 등을 고려해 선정.
  4. 지급 개시: 2025년 5월 이후, 대학별로 순차적 지급.

※ 지원은 별도 신청 없이 대학 자체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알아두면 좋은 실질 꿀팁

  • 다른 지원금과 중복 수령 가능 여부 확인: 대학별로 일부 중복 수령이 가능할 수 있음
  • 연구성과 관리: 추후 장려금 지속 수령 조건에 연구 성과 제출이 요구될 수 있음
  • 학기별 성적 관리: 최소 학점 기준을 만족해야 수급 자격 유지 가능

# 추가 정보 확인처

구분 링크
사업 공지 및 결과 확인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IRIS
세부 안내 및 문의 한국연구재단 누리집

* 관련 문의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미래인재정책국 미래인재양성과: 044-202-4839
  • 한국연구재단 인재양성사업팀: 042-869-6456

# 추천 앱

  • IRIS 앱: 연구사업 신청 및 결과 확인 가능
  • 정부24 앱: 국가 장학 및 복지 지원 통합 조회 가능

4. 결론: 이공계 대학원생 필독! 지원금 수령 꿀팁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사업'은 이공계 대학원생에게 안정적 연구 생활을 보장하는 획기적인 제도입니다.

참여대학에 재학 중인 경우, 별도의 복잡한 절차 없이 매월 일정 금액을 수령할 수 있으며, 추가 연구성과를 통해 더 많은 인센티브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대학 공지사항을 수시로 확인하고, 학업과 연구에 꾸준히 집중하는 것이 장려금을 안정적으로 수령하는 가장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이 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