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8학년도 대학입시부터 학종 중심 구조가 바뀌고 정시 비율이 대폭 확대됩니다.(현 고1부터)
특히 서울권 주요 대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과 학부모라면 지금 바로 이 변화를 정확히 이해하고 대응해야 합니다.
2025년 현재 중3 학생은 이번 개편의 첫 적용 대상이기 때문에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입학 직후부터 단계적인 대비가 필수입니다.
이 글에서는 입시 개편 핵심 내용과 함께, 중3과 고1 학생이 당장 실천해야 할 구체적인 전략과 학부모 점검 항목까지 정리했습니다.
특히, 중3을 중심으로 준비해야 할 부분들을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1. 2028 입시제도 핵심 요약
2028학년도 입시 주요 변경사항을 아래 표로 정리합니다.
구분 | 기존(2027년 까지) | 2028학년도 |
학생부 반영 | 세부능력·특기사항 위주 | 교과성적+학업역량 중심 강화 |
수능 과목 | 국, 수, 영, 탐구(2) | 국, 수(확통 제외), 영, 탐구(2) |
정시 비율 | 대학 자율 | 40% 이상 확대 |
교과전형 비율 | 일부 대학 | 서울권 대학 확대 (내신 1~2등급 필수) |
학종 비율 | 60~70% | 40~50% 축소 |
수능 최저 | 학교별 상이 | 서울권 대학 대부분 설정 가능성 |
# 핵심 정리
- 수능 정시 비율 확대
- 교과전형 강화
- 수능형 학습 조기 시작
- 학생부 교과 성적 1~2등급 확보 필수
2. 중3 학생이 지금부터 해야 할 준비 5단계
📌 단계 1 : 중3 시점 (지금~겨울방학)
구분 | 실천 내용 | 예시 |
내신 관리 | 주요 과목(국,수,영,과,사) 성적 95점 이상 유지 | 1학기 기말/2학기 중간·기말 목표 설정 |
독서·활동 | 학교 독서 활동, 교내 대회 1개 이상 참여 | 과학탐구토론대회, 역사탐방 기획 등 |
수능 개념 정리 | 국어 독서, 수학 개념 교재, 영어 독해 문제집 | EBS 중학 독서+개념서 학습 |
📌 단계 2 : 중3 겨울방학 (고입 전)
- 고등학교 수학Ⅰ, 국어 독서·문학, 영어 독해 선행학습
- 수능형 문제풀이(쉬운 개념서+문제풀이 병행)
- 개인 학습계획표 작성
예시: 주5일 학습 → 수학(3), 국어(2), 영어(2), 탐구(1)
3. 고1 진학 직후 실천해야 할 5가지
📌 ① 내신 1등급 확보 계획 세우기
고1 1학기부터 주요 과목 1등급 확보
※ 특히 서울대·연세대·고려대 교과전형 커트라인이 1.0~1.6
# 방법:
- 학교 시험 일정 확인
- 시험 4주 전부터 과목별 학습계획 작성
- 내신 출제 범위 예습 및 오답노트 작성
📌 ② 수능형 학습법 정착
수능형 문제 유형 분석 및 풀이법 습득
# 방법:
- 주2회 국어 비문학 지문 풀이
- 수학 문제 풀이 & 오답 정리
- 영어 구문 분석 + 수능 독해 연습
📌 ③ 생활기록부 세부능력 특기사항 관리
학업역량, 탐구활동, 독서 기록 관리
# 예시:
- 과학탐구 보고서 2회
- 교내 독서토론 1회
- 진로활동일지 작성
📌 ④ 모의고사 활용
고1 모의고사부터 성적 분석 및 취약과목 진단
# 방법:
- 모의고사 직후 과목별 성적표 확인
- 과목별 틀린 문제 유형 분석
- 오답노트 필수 작성
📌 ⑤ 학부모 월별 점검표
월 | 점검 항목 | 확인 여부 |
3월 | 학교생활적응, 수업 태도 | O / X |
4월 | 내신 중간고사 준비 | O / X |
5월 | 1차 모의고사 분석 | O / X |
6월 | 비교과 활동 참여 여부 | O / X |
4. 서울권 주요 대학 실전전략
📌 서울대·연세대·고려대 교과전형 내신컷(절대적 기준은 아님)
대학 | 교과전형 비율 | 예상 내신 컷 |
서울대 | 20% | 1.0~1.3 |
연세대 | 25% | 1.3~1.5 |
고려대 | 30% | 1.3~1.6 |
# 주의:
교과전형에도 수능 최저 기준 설정 가능성 매우 높음 → 수능 대비 병행 필수
📌 수능 정시 목표(절대적 기준은 아님)
과목 | 서울권 주요대 기준 |
국어 | 1~2등급 |
수학 | 1~2등급 |
영어 | 1등급 |
탐구 | 1~2등급 |
결론
2028학년도 입시는 정시 확대와 교과전형 강화라는 큰 변화가 적용됩니다.
특히 현 중3 학생은 이 변화의 첫 세대이므로 지금 중3 시점부터 내신 관리, 비교과 활동 기록, 수능형 학습법 정착을 체계적으로 준비해야만 서울권 대학 진학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학부모님께서도 매월 점검표와 활동 일지를 통해 자녀의 준비상황을 꼼꼼히 확인하고 지원해주셔야 합니다.
지금 바로 학습 계획과 생활기록부 관리를 시작하세요.
'입시, 교육, 육아 등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렌드 변화에 따른 대학생의 취업 준비 가이드 & 체크리스트 (2) | 2025.04.17 |
---|---|
2028 입시+고교학점제 완전분석 (중3부터 시작하는 실전준비) (6) | 2025.04.16 |
📱 우리 아이 휴대폰 구매 시기와 학습의 연관성 (6) | 2025.04.07 |
🎓 대학 신입생, 현실적인 용돈 얼마가 적당할까? 💰 (2) | 2025.04.06 |
🎓 대학생을 위한 효율적인 용돈 관리 팁 💰 (8)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