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재테크, 경제 등/경제

상권 분석: 성수동·계동 특성과 미래 유망지, 그리고 빛 관광지 전략

by 쓰다! 담다! 쓰다듬다! 2025. 4. 16.
반응형

 

 

📌 주제 요약

서울 도심 속에서 새롭게 주목받는 상권, ‘성수동’과 ‘계동’은 전통적인 번화가와는 다른 방식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 두 지역은 트렌디한 문화와 리테일이 조화를 이루며, MZ세대 중심의 유입을 통해 신상권의 대표주자가 되었죠.


이번 글에서는 성수동과 계동의 입지·상권 분석을 통해 공통 성공요소를 짚고,

향후 유사 발전이 기대되는 지역을 제안합니다.

또한, 전국 지자체들이 시도 중인 빛 관광지 조성 전략과 그 경제적 파급력도 함께 정리해드립니다.


🏙️ 1. 성수동·계동 상권의 특징과 성장 요인

✅ 성수동: 트렌드가 공장 골목을 바꾸다

항목 내용
과거 이미지 구두·공장 밀집지역, 낙후 산업지
주요 변화 요인 젠트리피케이션, 카페·편집샵 유입, 콘텐츠 공간 확장
핵심 키워드 MZ 감성, 인스타 감성, 리테일 실험공간
주요 테넌트(임차인) 아크메드라비, 대형 편집숍, 팝업스토어, 뷰티·패션 브랜드
유입 인구 20~40대 여성, 디자인 종사자, SNS 활동가

핵심 성공 요인:

  • 과거 산업시설을 감각적인 리테일 공간으로 리디자인
  • 젊은 층의 유입을 위한 ‘비정형적 매장 구조’
  • 기업 브랜드들이 ‘팝업 테스트 공간’으로 활용

✅ 계동: 한옥과 트렌드가 공존하는 로컬명소

항목 내용
과거 이미지 전통 한옥 주거지, 조용한 골목길
주요 변화 요인 북촌 관광객 유입, 한옥 리모델링, 공방·디자인숍 증가
핵심 키워드 로컬 브랜딩, 전통+모던 공존, 힐링 골목상권
주요 테넌트(임차인) 한옥카페, 소형 갤러리, 공예 브랜드, 북촌 뷰 포인트
유입 인구 외국인 관광객, 감성 여행객, 로컬라이프 선호층

핵심 성공 요인:

  • 전통 건축과 현대 감성의 믹스
  • 대형 브랜드보다 ‘작고 정성스러운 매장’의 인기
  • 관광 유입에 특화된 골목형 상권 구조

📍 2. 앞으로 주목해야 할 유사 성장 가능 지역

아래 지역들은 입지적 잠재력, 낙후 이미지, 문화적 재해석 가능성이 높아
성수동·계동과 유사한 성장 모델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역명 분석 포인트 발전 가능성
문래동 금속공장→갤러리·공방 변신, 작가 커뮤니티 형성 ★★★★★
연남동 후방 홍대·연트럴파크 인접, 카페 유입 중 ★★★★☆
동대문 창신동 봉제 골목과 도시재생 사업 연계 가능 ★★★★☆
을지로 3가 노포·타일 거리→디자인 공간 탈바꿈 중 ★★★★★
부평시장 주변 (인천) 낙후된 도심 속 청년몰·청년공방 입점 시작 ★★★☆☆

공통적 발전 전략:

  • 젊은 창업자 유입을 위한 임대료 안정
  • 유휴 공간을 감성 상업 공간으로 리디자인
  • 기존 기능(산업지, 시장 등)과 융합한 복합 문화 거리 조성

💡 3. ‘빛 관광지 조성’ 통한 상권 활성화 전략 분석

‘빛’은 감성 콘텐츠입니다.
최근 전국 지자체들은 야간 관광경관 조명을 통해
관광객 유입은 물론 주변 상권 활성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 대표 사례 비교

지역 전략 효과
전주 한옥마을 조명 한옥거리 + 포토존 확대 야간 방문객 증가, 음식점 매출 20% 상승
부산 광안리 광안대교 LED 조명쇼 SNS 콘텐츠화, 야간 관광 루트 생성
서울 청계천 정기적 빛축제 운영 계절별 테마관광, 전통시장 회복 시너지
여수 낭만포차 해안조명·조형물 설치 커플 관광지로 각인, 해양 상권 회복

✅ 빛 상권 조성의 3요소

  1. 장소성과 연결: 지역 역사, 건축, 전통 등을 테마로 조명 구성
  2. SNS 콘텐츠화: 포토스팟 → 자연스러운 바이럴 마케팅
  3. 이벤트화 가능: 정기 야시장, 빛축제, 문화공연 등 연계로 체류시간 증가

결론: 상권 성장 전략 요약

성수동과 계동은 '낡음'과 '감성'을 절묘하게 조합해 새로운 문화상권으로 성장했습니다.
앞으로는 문래동, 창신동, 을지로 같은 지역이 이 바통을 이어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야간 조명 콘텐츠는 상권의 ‘비용 적고 효과 높은’ 부스터입니다.
빛 상권은 단순한 조명이 아닌, 관광-문화-상업이 결합된 종합 콘텐츠 전략입니다.

 

전략 제안 요약

  • 유휴 공간 리디자인 + 젊은 창업자 입점 유도
  • 조명·미디어아트 중심의 야간 콘텐츠 기획
  • 지역 브랜딩 강화를 위한 ‘스토리 있는 거리’ 개발